외주를 맡기면 유지보수는 누가 하나요?
서비스 제작과 유지보수는 별개의 업무이며,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유지보수 담당자 선택의 4가지 방법
1. 제작사와 유지보수 계약 체결하기
서비스를 제작한 외주 제작사가 유지보수 업무도 함께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제작 완료 후 별도의 유지보수 계약을 맺게 됩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 서비스를 직접 만든 제작사이므로 구조와 코드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 별도의 인수인계 과정 없이 바로 유지보수가 가능합니다
- 초기 문제 발생 시 빠른 대응이 가능합니다
2. 별도의 유지보수 전문 외주 업체 또는 프리랜서 활용하기
제작사가 아니더라도 유지보수를 전문으로 하는 외주 업체나 개인 프리랜서 개발자들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고려하면 좋습니다:
- 제작사의 유지보수 비용이 부담스러울 때
- 제작사가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때
- 더 적합한 기술 스택을 가진 다른 개발자를 찾았을 때
이 경우 제작 완료 시 받은 인수인계 문서가 중요합니다. 이 문서를 바탕으로 새로운 담당자가 서비스를 이해하고 유지보수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3. 개발자를 직접 채용하기
서비스를 시작하자마자 기능 수정과 추가가 빈번하게 필요하다면, 개발자를 직접 채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개발자 채용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
- 사용자 피드백에 따라 수시로 기능을 변경해야 할 때
- 빠른 실험과 개선이 필요한 초기 검증 단계일 때
-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개발이 예상될 때
외주는 정해진 범위의 일을 빠르고 잘 만드는 데 강점이 있지만, 수시 변경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직원 채용이 더 나은 선택입니다. 변경 요청마다 견적과 일정 협의를 해야 하는 외주보다, 즉각적으로 소통하고 대응할 수 있는 내부 인력이 유리합니다.
4. 외주 제작 후 내부 인력으로 전환하기
외주로 제작을 완료한 후, 내부에서 채용한 개발자가 유지보수를 맡는 혼합 방식도 좋은 선택입니다.
이 방식의 장점:
- 초기 제작은 경험 있는 외주에게 맡겨 빠르고 안정적으로 완성합니다
- 서비스 오픈 후에는 내부 개발자가 유연하게 대응합니다
- 제작 비용과 인건비를 시기별로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원활한 유지보수를 위한 핵심: 인수인계 문서
어떤 방식을 선택하든, 외주 제작 완료 시 반드시 인수인계 문서를 받으셔야 합니다.
인수인계 문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 서비스 구조 및 시스템 아키텍처 설명
- 소스코드 및 데이터베이스 구조
- 서버 환경 및 배포 방법
- 주요 기능별 작동 원리
- 외부 연동 서비스 정보(API 키, 계정 정보 등)
이 문서가 있으면 제작사가 아닌 다른 개발자도 서비스를 이해하고 유지보수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계약 시 인수인계 문서 제공을 명시하고, 문서의 구체적인 범위를 협의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황별 최적의 선택 가이드
서비스 초기 단계이고 변경이 잦을 것 같다면: → 개발자 직접 채용 또는 외주 제작 + 내부 개발자 조합
안정적인 서비스를 만들고 가끔 수정만 필요하다면: → 제작사와 유지보수 계약 또는 프리랜서 활용
비용을 최적화하고 싶다면: → 외주 제작 후 인수인계 받아 저렴한 유지보수 파트너 찾기
중요한 것은 여러분의 서비스 특성과 예산, 향후 계획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입니다. 제작과 유지보수가 반드시 같은 곳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