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으로 세상을 설계합니다. 기술은 사람을 위한 것입니다. 자세히보기

2025/10/14 3

AI 코딩은 사람의 언어를 따라야 할까

AI가 코드를 작성할 때 Python이나 Java 같은 인간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야 할 필연적 이유가 있을까요. 자동화된 기계 코딩은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하면 됩니다. AI끼리 대화하는 지버링크는 사람의 언어를 토큰으로 변환하는 과정 없이 10배 이상의 효율을 보인다고 합니다. 사람이 이해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는 것은 아닙니다. 사람의 이해 방식이란사람이 이해하는 방식이란 지식을 학습하는 방식입니다. 정보를 보고 듣고 기억해 사고하며 패턴을 찾고 규칙을 만들어냅니다. 그렇게 지식이 언어로 바뀌어 문자로 기록되고 수 세대를 거치며 축적되었습니다.인간의 학습은 성장 속도만큼 느리고 점진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사고의 수준 또한 점진적으로 나아집니다. 간혹 천재라 불리는 이들이 등장해 세상을 바꿔놓..

AI 2025.10.14

스타트업의 서비스 확장과 품질 유지 사이에서

스타트업 서비스 운영의 현실스타트업 서비스를 오픈하고 몇 달이 지나면, 초기와는 다른 모습을 보게 됩니다. 사업이 확장되고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면서 서비스는 커집니다. 그런데 가끔 기존 서비스를 살펴보면 구멍이 숭숭 나 있습니다.회원가입 플로우에서 특정 케이스가 처리되지 않거나, 초기에 만든 페이지의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지 않거나, 고객센터 문의 내용이 쌓여 있는 채로 방치되어 있습니다. 누군가 신경 써야 하는데, 모두가 다음 비즈니스를 준비하느라 바쁩니다. 성장과 유지보수의 딜레마비즈니스 확장이 우선일 수밖에 없는 이유수익을 높이는 것이 최우선 목표입니다. 투자를 받았다면 성장 지표를 만들어야 하고, 새로운 시장에 진입해야 합니다. 다음 펀딩 라운드를 준비하거나, 손익분기점을 달성해야 하는 압박이 있습니..

스타트업에게 2025.10.14

테크리더의 추천 도서가 와닿지 않는 이유

SNS를 보다 보면 업계에서 영향력 있는 분들이 읽은 책 목록을 공유하곤 합니다. 제목만 봐도 묵직한 경영서적, 철학책, 혹은 최신 테크 트렌드를 다룬 원서들이 줄지어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그 책들을 읽어보면 내용은 어렵고 범위는 거시적 이어 딴 세상 이야기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흥미 없이 읽어야 할 것 같은 의무감으로 완독만 합니다. 관심사부터 다릅니다테크리더나 오피니언 리더가 관심 있는 주제는 우리와 출발점이 다릅니다. 그들은 조직을 이끌고, 전략을 세우고, 시장을 읽는 위치에 있습니다. 당연히 거시적인 흐름, 경영 철학, 리더십에 관심이 갑니다. 하지만 우리는 지금 당장 프로젝트를 어떻게 마무리할지, 기획서를 어떻게 설득력 있게 쓸지, 협업을 어떻게 원활하게 할지가 더 절실합니다.같은 '성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