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으로 세상을 설계합니다. 기술은 사람을 위한 것입니다. 자세히보기

창업자, 스타트업의 외주 제작 질문 100/3. 기획 및 요구사항 명세 단계

기능 정의서는 누가 작성하나요?

노노니 2025. 10. 31. 03:24

기능 정의서는 서비스 기획자가 작성하는 문서입니다. 많은 창업자분들이 외주 개발을 준비하면서 "우리 서비스에 필요한 기능 목록을 만들어야겠다"라고 생각하시는데, 사실 기능 정의서는 서비스 기획 과정의 후반부에 작성되는 산출물입니다.

 

기능 정의서 작성이 어려운 이유

기능 정의서를 작성하려면 단순히 "이런 기능이 있으면 좋겠다"는 아이디어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서비스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무엇을 원하며, 어떤 과정을 통해 그것을 얻을 수 있는지가 먼저 설계되어야 합니다.

갑자기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필요한 기능을 나열할 수는 없습니다. 각 기능이 사용자 경험 속에서 어떤 맥락으로 등장하고,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서비스 기획의 실제 순서

기능 정의서는 서비스 기획의 필수 단계가 아닙니다. 실제 서비스 기획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1단계: 서비스 이해하기

서비스 개요를 통해 서비스의 목적과 방향성을 정립합니다.

2단계: 사용자 경험 설계하기

**유저 플로우(서비스 사용 흐름도)**로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 여정을 그립니다.

3단계: 정보 구조 잡기

메뉴 구성과 **IA(정보 설계)**를 통해 서비스의 골격을 만듭니다.

4단계: 화면 흐름 설계하기

**페이지 플로우(페이지의 흐름도)**로 화면 간 이동 경로를 구체화합니다.

5단계: 상세 화면 설계하기

**화면 설계(와이어프레임, 화면/기능/동작 설명)**로 각 화면의 모습과 작동 방식을 그립니다.

6단계: 운영 규칙 정하기

정책서로 서비스 운영의 세부 규칙을 문서화합니다.

이 모든 과정을 거친 후에야 비로소 기능을 목록화할 수 있습니다.

 

외주 프로젝트에서 기능 정의서의 역할

외주로 서비스를 제작할 때 개발사에 "어떤 작업이 필요한지" 제시하기 위해 기능 정의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창업자가 직접 작성하기 어려운 이유

모든 서비스에는 기본 구성차별적 서비스 방식이 있습니다. 창업자는 차별적 요소에 대해 "어렴풋하게 어떻게 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계시지만, 이것을 구체적인 화면의 모습으로,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지 설계하는 것은 전문 영역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품을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한다"는 요구사항을 실제 서비스로 구현하려면:

  • 검색창을 어디에 배치할 것인가
  • 필터 기능은 어떤 항목으로 구성할 것인가
  • 검색 결과는 어떤 우선순위로 보여줄 것인가
  •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찾지 못했을 때 어떤 대안을 제시할 것인가

이런 구체적인 설계가 필요합니다.

 

올바른 외주 준비 방식

기능 정의서는 구체적인 서비스 이용 방식이 구상되고 난 후 기능을 목록화한 것입니다. 따라서 외주 개발을 준비하신다면:

  1. 서비스 기획자에게 전체 서비스 설계를 의뢰하세요
  2. 유저 플로우부터 화면 설계까지 체계적으로 준비하세요
  3. 그 결과물을 바탕으로 개발사와 협의하세요

기능 목록만 작성해서 개발사에 넘기는 방식은 서비스의 핵심인 사용자 경험을 놓치기 쉽습니다. 제대로 된 서비스 기획을 통해 준비하시면 개발 과정에서의 혼선도 줄이고, 원하시는 서비스를 정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