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기획6

서비스 기획 과정: 11단계 완벽 가이드 "서비스 기획의 기본 정의부터 프론트·어드민 기획까지. 아이디어, 최소한 정의, 유저 시나리오, 스토리보드 등 11단계 서비스 기획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 서비스 및 기획의 기본 정의 서비스란 무엇인가서비스는 필요한 사람에게 뭔가를 제공하는 행위입니다.온라인 서비스는 온라인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필요할 때 원하는 것을 익숙하고 쉽게 이용하도록 하는 것입니다.사용자는 익숙한 방식을 선호하며, 익숙하지 않으면 매우 불편하게 여깁니다. 이는 UX/UI의 개념과 연결됩니다. 서비스 기획의 목적서비스 기획은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가 함께 작업하기 위한 기본 개념에서 출발합니다.첫 번째 목적은 요구 사항이나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업무나 아이디어가 본질적으로 무엇인지를 파악.. 2025. 11. 25.
문제가 있는 곳에 서비스와 기회가 있다 창업을 하려는데 아이디어가 없다는 말을 종종 듣습니다. 돈이 되는 아이템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아이디어는 멀리 있지 않습니다. 지금 불편한 것, 필요한 것만 적어봐도 만들 서비스가 쌓입니다.세상에 완벽한 것은 없습니다. 더 좋은 것은 항상 존재합니다. 그 필요를 아는 방법은 직접 사용해 보는 것, 즉 사용자 경험입니다. 결제 수단의 진화가 보여주는 것동전을 들고 다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무겁고 부피가 컸습니다. 그래서 가벼운 지폐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지폐도 여러 장 들고 다니면 지갑이 두툼해집니다. 카드 한 장이면 충분해졌습니다.그런데 카드가 여러 장이면 어떻습니까? 신용카드, 체크카드, 멤버십 카드까지 지갑이 다시 두꺼워집니다. 한 장의 카드에 여러 회사의 신용카드 기능을 .. 2025. 11. 5.
개발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서를 쓰는 방법은? 많은 창업자분들이 "개발을 모르는데 개발자가 이해할 수 있는 기획서를 어떻게 쓰나요?"라고 질문하십니다. 개발 지식이 없어서 개발자와의 소통이 어려울 것이라 걱정하시죠. 개발을 깊이 이해하지 못해도 개발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획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사용자 관점'입니다. 개발 지식보다 중요한 것은 사용자 이해입니다개발자가 되지 않고서는 개발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창업자나 기획자가 개발을 배워야 기획서를 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개발 구조나 기술적 구현 방법을 기획서에 담으려 하면 개발자의 영역을 침범하게 되고, 불필요한 제약을 만들 수 있습니다.기획서의 본질은 '무엇을 만들 것인가'를 정의하는 것이지, '어떻게 만들 것인가'를 지시하는 것이 아닙니다. 개발.. 2025. 10. 31.
스타트업 외주 개발, 서비스 기획부터 시작해야 하는 이유 창업 초기에는 자금이 부족합니다. 개발자를 정규직으로 채용하기 어렵고, 디자이너까지 팀을 구성하려면 몇 천만 원의 인건비가 매달 나갑니다. 그래서 많은 창업자가 외주를 선택합니다.외주는 필요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됩니다. 3~4개월 프로젝트로 서비스를 만들고, 이후 유지보수만 최소한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정규직 개발자 1년 인건비로 완성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적입니다.하지만 외주사에 "이런 서비스를 만들고 싶습니다"라고만 말하고 시작하면 문제가 생깁니다. 외주 프로젝트가 표류하는 순간외주사의 기획은 창업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외주사의 서비스 기획은 단 몇 주로 계획됩니다. 해달라고 하는 대로 그린다면 서비스 기획 전문가가 필요 없을 것입니다. 수 천만 원의 .. 2025. 10. 29.
스타트업의 서비스 확장과 품질 유지 사이에서 스타트업 서비스 운영의 현실스타트업 서비스를 오픈하고 몇 달이 지나면, 초기와는 다른 모습을 보게 됩니다. 사업이 확장되고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면서 서비스는 커집니다. 그런데 가끔 기존 서비스를 살펴보면 구멍이 숭숭 나 있습니다.회원가입 플로우에서 특정 케이스가 처리되지 않거나, 초기에 만든 페이지의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지 않거나, 고객센터 문의 내용이 쌓여 있는 채로 방치되어 있습니다. 누군가 신경 써야 하는데, 모두가 다음 비즈니스를 준비하느라 바쁩니다. 성장과 유지보수의 딜레마비즈니스 확장이 우선일 수밖에 없는 이유수익을 높이는 것이 최우선 목표입니다. 투자를 받았다면 성장 지표를 만들어야 하고, 새로운 시장에 진입해야 합니다. 다음 펀딩 라운드를 준비하거나, 손익분기점을 달성해야 하는 압박이 있습니.. 2025. 10. 14.
이해할 수 없는 기획도 일단 만들어봐야 하는 이유 - 기획 의도를 실감하게 되는 순간 서비스 개발 과정에서 기획자의 기획이나 디자이너의 디자인을 보고 "이해가 안 된다", "왜 이렇게 하려고 하지?"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막상 구현하고 나서야 "아, 이런 의도였구나"라고 깨닫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획 단계의 상상과 실제 구현된 결과물 사이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경험들이 왜 중요한지 살펴보겠습니다. 처음엔 이해되지 않는 기획 의도새로운 방식을 기획하고 디자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획서를 받아보거나 디자인 시안을 확인할 때 "이해할 수 없는 새로운 방식"이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왜 이렇게 복잡하게 만들려고 하지?" "기존 방식이 더 직관적인데?"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을까?" 같은 의문들이 자연스럽게 생깁니다. 기획자나 디자이너의 설명을 들어도 여전히 .. 2025.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