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기획12

외주 실패를 방지하려면 어떤 문서화가 필요한가요? 외주 프로젝트에서 문서화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말로만 합의하고 넘어가면 나중에 "이렇게 하기로 했다", "아니다 저렇게 하기로 했다"는 분쟁이 발생합니다. 문서화는 실패 방지를 위한 시작입니다. 문서화하는 외주사가 실패하지 않는다실패하지 않는 외주사는 절차를 지키고 최대한 문서화를 합니다.절차와 문서화의 관계체계적인 외주사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각 단계마다 문서를 생성합니다. 기획 단계에서는 기획서를, 디자인 단계에서는 디자인 파일을, 개발 단계에서는 일정표와 테스트 결과를 만듭니다. 이런 문서는 단순히 형식을 갖추기 위한 것이 아니라, 발주사와 외주사가 같은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도구입니다. 문서가 없으면 오해가 생기고, 오해는 실패로 이어집니다.책임의 명확화문서.. 2025. 11. 25.
기획 변경 요청은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외주로 서비스를 만들다 보면 "아, 이 기능을 바꾸고 싶다", "더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는 순간이 옵니다. 기획 변경은 언제까지 가능할까요? 그리고 변경하면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계약 방식과 진행 단계에 따라 달라집니다. 턴키 계약에서는 기획 변경이 치명적입니다턴키 계약(기획, 디자인, 개발을 한 업체가 모두 진행)에서 기획 변경 요청은 일정 지연과 추가 비용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턴키 계약은 전체 일정과 비용이 정해져 있고, 기획-디자인-개발이 순차적으로 진행됩니다. 기획이 끝나야 디자인이 시작되고, 디자인이 끝나야 개발이 시작됩니다. 만약 디자인이나 개발 중에 기획을 변경하면, 이미 진행된 작업을 다시 해야 합니다.예를 들어 디자인이 50% 진행된 시점에 "이 화면 구조를 바꾸고 싶어요".. 2025. 11. 6.
웹/앱 서비스 기획 의뢰 스타트업 서비스 기획 전문가와 함께하는 성공적인 서비스 출시 예비창업자와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1:1 맞춤 서비스 기획 상담성공적인 스타트업은 좋은 아이디어에서 시작하지만, 그 아이디어를 실현 가능한 서비스로 만드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20년 이상의 현장 경험을 가진 서비스 기획 전문가가 여러분의 스타트업 여정에 동행합니다.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신가요?예비창업자라면"내 아이디어가 정말 구현 가능한 서비스일까?""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아이템인지 검증받고 싶어요""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합니다""개발 외주를 맡기려는데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초기 스타트업이라면"외주 개발사와 소통이 잘 안 되는 것 같아요""제작 일정이 계속 미뤄지는데 이게 정상인가요?""잔금을 지급했는데 서비스 오픈이 안.. 2025. 11. 4.
외주 기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은 무엇인가요? 외주든 인하우스든 서비스 기획서의 구성은 동일합니다. 다만 외주로 진행할 때는 창업자가 기획 내용을 충분히 검토하고 이해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떤 항목들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각 항목을 어떤 순서로 검토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비스 기획 산출물의 핵심 구성 요소서비스 기획은 크게 상위 기획과 상세 기획으로 나뉩니다. 전체 기획서의 90%는 화면설계로 이루어지며, 이것이 바로 상세 기획에 해당합니다. 나머지 10%가 상위 기획인데, 이 부분이 서비스의 방향성과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토대가 됩니다. 필수 산출물 7가지1. 서비스 개요서비스의 목적과 핵심 가치타깃 사용자 정의2. 사용자 흐름도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 여정3. 메뉴 구성전체 메뉴 체계내비게이션 구조4. 정보 .. 2025. 10. 31.
창업자가 외주 서비스 제작에서 실패하지 않는 방법 외주로 서비스를 제작하려는 창업자들이 많습니다. 자체 개발팀을 구성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당연한 선택입니다. 그런데 외주 제작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들이 생깁니다. 비용이 늘어나고, 일정이 지연되고, 결과물이 기대와 다릅니다. 이런 문제들은 대부분 한 가지 지점에서 시작됩니다.서비스 기획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작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설계 없이는 제작할 수 없습니다건물을 지을 때 설계도 없이 시작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서비스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기능이 필요한지, 사용자가 어떤 경로로 움직이는지, 각 화면은 어떻게 구성되는지 정리되지 않으면 디자이너도 개발자도 작업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대충 이런 느낌으로 만들어주세요"라고 말하면, 외주 업체는 그들이 생각하는 대로 만듭니다. 그 결과물이 .. 2025. 10. 28.
아이디어만 있는데 다음이 막막하다면, 지금 필요한 건 기획자입니다 아이디어는 있습니다. 이걸로 서비스를 만들고 싶습니다. 그런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검색하면 MVP, UX, 기획서 같은 단어가 나오지만, 이것들을 어떻게 실제로 만들어야 하는지는 나오지 않습니다. 문제는 간단합니다. 머릿속 아이디어를 문서로 옮기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개발자에게 설명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는 법을 배운 적이 없습니다. 당신의 아이디어는 지금 어느 단계입니까머릿속에만 있는 아이디어스타트업을 준비하는 분들을 만나면 대부분 비슷한 상태입니다. 아이디어는 명확합니다. 이런 서비스를 만들면 사람들이 쓸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개발자를 만나면 질문이 쏟아집니다."로그인은 어떻게 하나요?" "결제 화면은 어떻게 구성되나요?" "관리자 화면에서 뭘 볼 수 있어야 하죠?"이 질문.. 2025. 10. 28.
서비스 범위가 달라졌습니다 스타트업이 서비스를 기획할 때 "무엇을 만들 것인가"를 명확히 하지 않으면 범위가 두 배, 세 배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배달의민족 같은 서비스를 만들 때, 온라인 주문 플랫폼을 할 것인지 배달 대행 서비스를 할 것인지에 따라 다른 사업 방향과 규모, 경쟁 구도가 달라집니다. 서비스 범위 설정의 중요성스타트업이 마주하는 질문스타트업과 멘토링을 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는 "우리가 정확히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가"입니다. 아이디어는 명확해 보이는데, 막상 시스템으로 구현하려고 하면 복잡해집니다. 배달의민족 사례로 이해하기배달의민족을 생각해 봅시다. 배민은 "온라인 주문 플랫폼"입니다. 고객과 음식점을 연결하고, 주문을 중개하는 서비스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배달 서비스가 더해지면서 "배달 대.. 2025. 10. 27.
시장조사가 좋은 기획서를 만들어줄까 시장조사, 자세히 해야 좋은 기획이 나올까요?"어린이 앱을 기획하는데, 사용자 연령대, 앱 사용도, 선호 기능을 얼마나 깊이 조사해야 할까요?""시장조사를 더 자세히 하면 페르소나도 정교해지고 기획 산출물도 좋아지지 않을까요?"시장조사를 앞두고 이런 고민을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시작하기 전에 먼저 질문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시장조사 전에 먼저 정해야 하는 것무엇을 알고 싶은가?시장조사를 하기 전에 이미 아이디어는 있었을 겁니다. 누구에게 무엇을 제공할지에 대한 가설 말입니다. 시장조사는 그 가설이 맞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백지 상태에서 시장조사로 답을 찾으려고 하면 방향을 잃고 헤매게 됩니다. 방향이 없었으므로 헤매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이기도 합니다. 시장조사 적정 규모는?10명 vs 10.. 2025. 10. 24.
서비스 기획자의 역량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맥비 커뮤니티 주관 '제10회 한국 'K-기획자 콘퍼런스 2025'에서 연사로 발표한 내용 요약입니다. 서비스 기획자 선배로, Thought Leader로 후배 서비스 기획자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입니다.무리하여 질리지 말고 좋은 서비스 기획자가 되어 꼭 필요한 서비스가 세상에 나올 수 있도록 해주기 바랍니다. 서비스 기획자는 무엇을 배워서 어떤 일을 하는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디자이너나 개발자처럼 전공이 있는 것도 아니고, 학문으로 체계화된 것도 아닙니다. 그저 주어지는 일을 수행하면서 역할이 확장되고, 어느새 '서비스 기획자'라는 명함을 받게 됩니다.지금도 많은 서비스 기획자가 자신이 무엇을 하는 전문가인지보다 어떤 일이 주어지는가에 따라 일합니다. 디자인도 하고, 마케팅도 하고, QA도 하고, .. 2025. 10. 2.
맥비 설문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K-서비스 기획자 어떤 업무를 하고 있나 서비스 기획자 맥비는 '2025년인 지금.. 기획자는 어떤 업무를 하고 있나요?' 라는 주제로 설문을 하였고 결과를 배포했습니다.총 221명이 응답한 설문의 결과를 분석하여 K-서비스 기획자는 어떤 업무를 하고 있으며 실리콘 밸리로 대표되는 Product Manager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설문결과1. 서비스 기획자가 공통적으로 하는 업무(대부분의 응답에서 수행됨)문제 정의 및 요구사항 분석서비스/플랫폼의 문제 발굴과 정의요구사항 정의 및 정리서비스 정책 관련 활동서비스 정책 수립정책 문서/정책서 작성기획 문서 작성제안서, 기획서, 보고서 등 문서화화면 설계이용자 화면 설계 (User Flow, Wireframe)관리자(운영자) 화면 설계품질 검증테스트 시나리오 작성테스트 진행 (QA .. 2025.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