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노노니
2000년대 초 웹 산업의 성장기부터 모바일 전환기, 그리고 현대의 AI 시대까지 온라인 서비스 기획과 UX 전략을 전문적으로 수행해온 실전형 서비스 기획자입니다.
웹/앱 생태계 전반과 스타트업의 0→1 구축을 깊이 있게 설계해 왔고, 문제 정의–구조 설계–실행 체계화에 강점을 가진 기획자입니다.
다양한 산업의 프로젝트를 직접 기획하며 일반 스타트업 기획자가 경험하기 어려운 넓은 도메인 경험을 축적했습니다.
숏폼 SNS,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공공기관 글로벌 콘텐츠, ESG 푸드웨이스트 플랫폼, 전자계약 SaaS, 전자상거래 앱, 헬스케어·교 플랫폼까지 폭넓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리드함으로써 복잡한 비즈니스 모델을 단순한 UX로 재구축하는 능력을 증명해 왔습니다.
Professional Focus
1. Online Service Planning & UX Strategy
초기 웹 서비스부터 모바일 앱, 그리고 최근의 AI-Native 서비스까지 서비스의 구조를 설계하고 사용자 경험의 흐름을 만드는 일을 꾸준히 맡아 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경험한 대표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외 총 100개 이상의 온라인 서비스를 설계 했습니다.
NPO 희망제작소의 웹미디어팀장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총괄하여 설계 뿐만 아니라 운영, 팀관리, 프로젝트 리딩의 전문가입니다.
- 숏폼 SNS ‘자랑질’ – 콘텐츠/촬영/피드 구조 설계
- 코인마켓스코어(CoinMarketScore) – 복잡한 암호화폐 분석 데이터를 사용자 친화형 모델로 재구성
- 한-아프리카재단 ‘아프리카 지식정보’ 웹 개선 – 공공기관의 글로벌 정보 플랫폼 UI/IA 고도화
- 링크프렌즈(LinkFriends) – 리퍼럴 마케팅 구조 정의 및 전환 최적화 UX 설계
- 더제로(TheZero) – ESG·푸드웨이스트 감축 서비스의 환경지표 설계 및 관리자 UX 구축
- 온나라싸인·엔터크레딧 – 전자계약 서비스의 계약 프로세스·권한 정책 및 UX 설계
- 장보고 앱 – 이커머스 상품 구조·구매 플로우·재구매 UX 설계
- 젠톡(Jentalk) – 유전자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정보구조 및 상담 UX 디자인
- 육아 플랫폼 켈리(Kelli) – 커뮤니티·육아 정보 큐레이션 UX 설계
각 프로젝트는 IA·사용자 플로우·정책서·운영 구조·스토리보드까지 서비스 전반을 처음부터 끝까지 설계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2. Startup Mentoring & Zero-to-One Execution
스타트업의 초기 기획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능 나열’이 아니라 **문제 정의와 시장 적합성(Problem–Solution Fit)**입니다.
실제 프로젝트 경험을 기반으로:
- 창업자의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서비스 구조로 변환
- 개발·디자인 조직이 바로 실행 가능한 PRD/스토리보드 제공(150~200p)
- 반복되는 방향 변경을 정리하는 리뷰 시스템 구축
- 비즈니스 모델과 UX 흐름의 충돌 지점 해결
등 기획-제품-조직을 연결하는 조율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실전 경험은 단순한 이론 기반 멘토링이 아니라,
“실제로 실행되는 기획”을 만드는 데 필요한 조언과 설계를 제공합니다.
Career Highlights
- 25년 경력의 전문 서비스 기획자
- 누적 100개 이상의 웹/앱 프로젝트 기획 및 UX 구조 설계
- 공공·SaaS·이커머스·핀테크·헬스케어·ESG·콘텐츠 등 폭넓은 도메인의 서비스 설계
- IA, 정책서, 유저 플로우, 알고리즘 정의, 운영 시나리오 등 서비스 전 영역 설계
- 예비창업·초기창업 패키지 멘토링 경험
- 스타트업/에이전시/기업의 초기 서비스 및 고도화 프로젝트 리드
- 서비스 기획자의 멘토
Professional Identity
복잡한 요구사항과 여러 이해관계자 사이에서
본질을 추출하고, 하나의 구조로 정리해 서비스의 길을 제시하는 기획자입니다.
스타트업이 흔들리는 상황에서도 중심을 잡고
“빠르고·명확하고·근거 있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이끄는 실전형 전문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