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수인계3

외주 개발 후 소스코드를 받는 게 가능한가요? 외주로 서비스를 개발할 때 소스코드 인수는 프로젝트 완료의 핵심 단계입니다. 외주 작업이 끝나면 개발된 서비스를 운영하고 개선하기 위해 모든 소스코드와 관련 자료를 제대로 받아야 합니다. 소스코드를 받지 못하거나 불완전하게 받으면 나중에 유지보수나 기능 추가가 불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어떤 형태로 무엇을 받아야 하는지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스코드 인수는 필수외주 개발 후 소스코드를 받는 것이 정상입니다. 외주 작업의 원본 파일과 계정 정보, 각종 내용을 정리하여 완료 보고서와 함께 최종 산출물을 제출받고 이를 확인하여야 외주가 완료됩니다.소스코드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모든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합니다. 프론트엔드 코드, 백엔드 코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정 파일 등 서비스가 작동하는 데 필.. 2025. 11. 15.
외주 개발 이후 내부 개발자가 이어받을 수 있나요?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외주 개발을 고려할 때 가장 걱정하는 부분 중 하나가 "외주로 만든 서비스를 나중에 우리 개발자가 이어받을 수 있을까?"입니다. 외주사에 계속 의존하게 되는 건 아닌지, 나중에 개발팀을 꾸렸을 때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야 하는 건 아닌지 불안합니다.결론부터 말하면, 외주 개발 결과물을 내부 개발자가 이어받는 것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IT 업계에서는 이미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일입니다. IT 프로젝트는 원래 만드는 사람과 운영하는 사람이 다릅니다대부분의 IT 프로젝트는 개발팀과 운영팀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개발이 완료되면 운영팀으로 인수인계가 이루어지고, 운영팀은 서비스를 모니터링하고 유지보수하며 사용자 문의에 대응합니다.대기업이나 중견 기업의 경우,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SI 업체가 따로 .. 2025. 11. 15.
피그마나 깃허브 협업 경험을 어떻게 확인하나요? 외주로 디자인과 개발을 맡길 때 피그마(Figma)와 깃허브(GitHub) 사용 경험을 확인해야 할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은 "확인할 필요까지는 없지만, 사용하지 못하는 업체는 거의 없다"입니다. 다만 확실하게 하려면 계약서에 명시하면 됩니다. 피그마와 깃허브로 협업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외주 업체나 프리랜서가 과거와 현재 어떤 방식으로 작업하는지는 피그마와 깃허브 사용 여부로 알 수 있습니다. 이 두 툴은 각각 디자인과 개발 분야에서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기 때문입니다.미팅 때 "피그마로 작업하시나요?", "깃허브로 코드 관리하시나요?"라고 물어보세요. 경험 있는 업체라면 당연하다는 듯이 대답할 것입니다. 오히려 "다른 방식으로 하시길 원하세요?"라고 물어볼 수도 있습니다.포트폴리오를 요청할 때 피그마.. 2025.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