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보수 계약서2 유지보수 계약 기간은 보통 얼마인가요? 외주사와 유지보수 계약을 하려고 하는데 계약 기간을 얼마로 정해야 할지 고민되시나요? 외주사는 1년 계약을 제안하는데, 초기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1년이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서비스가 잘 될지도 확실하지 않은데 1년 치 비용을 약속해야 한다는 것이 망설여집니다.유지보수 계약 기간은 정해진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인 방식과 각각의 장단점을 알아두면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1년 계약IT 유지보수 계약에서 가장 흔한 방식은 1년 단위 계약입니다. 외주사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고, 발주사 입장에서는 1년 동안 서비스 관리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1년 계약은 월 단위로 비용을 지불하되, 계약 기간을 1년으로 정하는 방식입니.. 2025. 11. 12. 버그 수정과 기능 추가의 경계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외주사와 유지보수 계약을 하고 나면 종종 이런 상황이 발생합니다. 서비스에 문제가 생겨서 외주사에 수정을 요청했는데, 외주사는 "이건 버그가 아니라 새로운 기능 추가라서 별도 비용이 필요합니다"라고 답합니다. 창업자 입장에서는 당연히 고쳐야 할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추가 비용을 요구받으니 당황스럽습니다.버그 수정과 기능 추가의 경계는 외주 유지보수에서 가장 많은 오해와 분쟁이 생기는 부분입니다.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는 기준을 알아두면 불필요한 갈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버그란 무엇인가요?버그는 만들어 놓은 것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원래 의도한 대로 작동해야 하는데 작동하지 않거나, 잘못된 결과를 보여주는 경우가 버그입니다.예를 들어 로그인 기능을 만들었는데 특정 상황에서 로그인이 안 된다면 이것.. 2025. 11.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