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 과정: 11단계 완벽 가이드

by 노노니 2025. 11. 25.

 

"서비스 기획의 기본 정의부터 프론트·어드민 기획까지. 아이디어, 최소한 정의, 유저 시나리오, 스토리보드 등 11단계 서비스 기획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

 

서비스 및 기획의 기본 정의

 

서비스란 무엇인가

서비스는 필요한 사람에게 뭔가를 제공하는 행위입니다.

온라인 서비스는 온라인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필요할 때 원하는 것을 익숙하고 쉽게 이용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사용자는 익숙한 방식을 선호하며, 익숙하지 않으면 매우 불편하게 여깁니다. 이는 UX/UI의 개념과 연결됩니다.

 

서비스 기획의 목적

서비스 기획은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가 함께 작업하기 위한 기본 개념에서 출발합니다.

첫 번째 목적은 요구 사항이나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업무나 아이디어가 본질적으로 무엇인지를 파악합니다.

두 번째 목적은 디자인과 개발자가 보고 무엇을 만들어야 할지 알 수 있는 설계 과정(청사진)을 만드는 것입니다.

기획은 크게 사용자가 쓰는 영역인 프론트와 관리자가 쓰는 어드민 두 가지로 나뉩니다.

 

기획 과정의 단계 구분

서비스 설계는 아홉 단계를 거쳐 완성되며, 스토리보드까지 이르는 7단계(일부 자료에서는 7단계까지)는 상위 기획이라고 부릅니다.

스토리보드를 만드는 단계와 정책서 작성을 포함한 그 이후 과정은 상세 기획이라고 합니다.

 

 

프론트 서비스 기획의 주요 11단계

서비스 기획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순서를 따릅니다.

 

1단계: 아이디어/요구 사항 (Idea/Requirement)

서비스의 시작점이며, 보통 거대하고 큰 비전을 제시하는 형태를 띱니다. 예를 들어 '강의를 한다'와 같은 형태입니다.

 

2단계: 최소한 정의 (Minimum Viable Definition)

기획자가 하는 일의 시작으로, 아이디어의 실체를 매우 작게 정의해야 합니다.

이 정의는 서비스를 만드는 근본적인 기준이 되며, 요구 사항이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서비스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 주문은 주문을 위한 서비스, 배달의민족은 배달을 위한 서비스로 최소한의 목적이 다릅니다.

 

3단계: 스터디 (Study)

기획 과정에 항상 포함되며, 새로운 도메인이나 서비스를 기획할 때 반드시 필요합니다.

논문이나 기사를 통해 해당 업계의 현황, 배경, 전망 등을 파악하여 이야기의 기본 바탕을 쌓아 놓아야 합니다.

스터디를 통해 기획자는 요구 사항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제한(요구 사항 변경 또는 다른 방향 제시)을 할 수 있습니다.

 

4단계: 유저 시나리오 (User Scenario)

사용자(유저)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계획)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누가, 무엇을 할 때, 어떤 과정으로 할 것인가를 설계하며, 가장 대표적이고 일반적인 시나리오를 작성합니다.

예를 들어 팀빌딩 서비스의 경우, 프로젝트 작성 → 참여자 지원 → 개설자의 선택 → 서비스 제작/포스팅 → 이탈/강퇴와 같은 흐름입니다.

 

5단계: 기능 정의 (Feature Definition)

유저 시나리오에서 도출된, 사용자가 취하는 구체적인 액션을 기능으로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등록, 지원, 선택 등입니다.

 

6단계: 메뉴 구성 (Menu Configuration)

기능들 중에서 맨 처음에 보게 해야 할 중요 기능을 앞으로 빼서 메뉴로 구성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등록 기능이 메뉴로 구성되어야 팀이 시작됩니다.

알림이나 마이페이지 같은 요소는 나중에 추가될 수 있습니다.

 

7단계: (세부) 서비스 프로세스 (Service Process)

유저 시나리오와 유사하지만, 메뉴나 기능으로부터 시작하는 뒷단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조건에 따른 판단을 상세하게 설계합니다. 예를 들어 동의/미동의 시 처리, 로그인 성공/실패 시 처리 등입니다.

 

8단계: 페이지 흐름도 (IA: 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 분류 체계입니다. 기능과 메뉴를 담는 방식으로, 페이지의 목록과 흐름을 정리합니다.

페이지 흐름도는 작업량 파악 및 메뉴로부터 어떤 페이지로 흘러가는지를 정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보조 도구로 WBS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일정 관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9단계: 데이터 마인드 맵/샘플 데이터 (Data Mind Map/Sample Data)

화면 설계를 시작하기 전에 프로젝트 제목, 필요한 포지션 등 등록 시 필요한 내용을 미리 정의하여 개발 시 오류를 줄이고 프론트와 어드민의 데이터 짝을 맞추는 데 사용합니다.

 

10단계: 화면 설계 (Screen Design)

페이지 하나하나마다 화면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정확한 비율이나 디자인 없이 배치하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사이즈나 비율을 고려하지 않고 '이미지'라고만 표시합니다.

 

11단계: 스토리보드 (Storyboard)

화면 설계를 깔끔하게 정리하고, 화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기능 설명, 의도)을 작성하여 개발자나 디자이너에게 전달하는 최종 설계 문서입니다.

와이어프레임(로우 파일)만으로 할 수도 있으나, 비전문가에게 이해를 시키기 위해 실제와 유사하게 만듭니다.

 

정책서 (Policy Document)

스토리보드 화면을 보며 서비스의 운영 조건과 규칙을 정리합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최대 개수, 신고 시 자동 노출 금지 여부 등입니다.

정책서는 서비스 운영 중 개선 사항이 생겼을 때 최신 내용으로 업데이트되어야 서비스 현황 파악에 도움이 됩니다.

 

 

관리자 서비스(어드민) 기획

어드민 기획은 프론트 기획을 바탕으로 도출되며, 관리자가 필요로 하는 세 가지 주요 기능으로 구성됩니다.

현황 (Status)

서비스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파악합니다. 예를 들어 회원 수, 매물, 계약 현황 등입니다.

처리 (Handling)

관리자가 처리해야 하는 업무가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신고된 매물 처리, 주문 발송 처리 등입니다. 처리 방식은 자동과 수동으로 나뉩니다.

통계 (Statistics)

누적 회원 수, 계약 건수, 계약 기간 분포 등 데이터를 그래프화하여 서비스 운영 방향을 설정하는 근거로 사용합니다.

 

기획 방법론의 특성

양면 서비스 (Two-sided service)

서비스에 판매자와 구매자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이들을 하나의 서비스 내에서 '모드 변경'을 통해 제공할지, 아니면 아예 분리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이는 편리함에 따라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제시합니다.

온라인 서비스의 특징

오프라인에서 발생하는 분쟁이나 악용 사례(예: 월세 미납 시 퇴거 거부)를 막기 위해, 계약 종료 시 전기/수도 차단 등 사람이 개입하지 않는 시스템적인 강제 조치를 설계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문서화의 중요성

모든 단계를 문서로 작성하는 것이 혼자 할 때는 불필요할 수 있으나, 복수의 작업자가 함께 일하거나 새로운 기획자가 이어갈 때 기반이 없으면 혼란이 생기므로 체계적인 문서화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