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설계3 외주 기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은 무엇인가요? 외주든 인하우스든 서비스 기획서의 구성은 동일합니다. 다만 외주로 진행할 때는 창업자가 기획 내용을 충분히 검토하고 이해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떤 항목들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각 항목을 어떤 순서로 검토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비스 기획 산출물의 핵심 구성 요소서비스 기획은 크게 상위 기획과 상세 기획으로 나뉩니다. 전체 기획서의 90%는 화면설계로 이루어지며, 이것이 바로 상세 기획에 해당합니다. 나머지 10%가 상위 기획인데, 이 부분이 서비스의 방향성과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토대가 됩니다. 필수 산출물 7가지1. 서비스 개요서비스의 목적과 핵심 가치타깃 사용자 정의2. 사용자 흐름도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 여정3. 메뉴 구성전체 메뉴 체계내비게이션 구조4. 정보 .. 2025. 10. 31. 맥비 설문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K-서비스 기획자 어떤 업무를 하고 있나 서비스 기획자 맥비는 '2025년인 지금.. 기획자는 어떤 업무를 하고 있나요?' 라는 주제로 설문을 하였고 결과를 배포했습니다.총 221명이 응답한 설문의 결과를 분석하여 K-서비스 기획자는 어떤 업무를 하고 있으며 실리콘 밸리로 대표되는 Product Manager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설문결과1. 서비스 기획자가 공통적으로 하는 업무(대부분의 응답에서 수행됨)문제 정의 및 요구사항 분석서비스/플랫폼의 문제 발굴과 정의요구사항 정의 및 정리서비스 정책 관련 활동서비스 정책 수립정책 문서/정책서 작성기획 문서 작성제안서, 기획서, 보고서 등 문서화화면 설계이용자 화면 설계 (User Flow, Wireframe)관리자(운영자) 화면 설계품질 검증테스트 시나리오 작성테스트 진행 (QA .. 2025. 10. 2. 화면 설계의 미로에서 벗어나는 법, 화면흐름도가 답이다 서비스 기획 과정에서 화면 설계는 끊임없는 선택의 연속입니다. 하나의 요소를 추가하고 삭제하는 과정에서 전체 서비스의 사용 방식이 바뀌고, 이는 다시 새로운 고민을 불러일으킵니다. 이런 반복적인 수정 작업 속에서 방향성을 잃지 않고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화면흐름도입니다.화면 설계에서 마주하는 딜레마화면 설계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상황들과 자주 마주하게 됩니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려 추가한 기능이 오히려 복잡성을 증가시키거나, 간소화를 위해 제거한 요소가 핵심 기능의 접근성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하죠.이런 과정에서 "있던 것을 없애고 없던 것을 만들고, 없어진 것을 다시 살리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반복됩니다. 한 페이지 안에 들어갈 요소들을 두고 오랜 시간 고민하다 보면.. 2025. 8.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