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으로 세상을 설계합니다. 기술은 사람을 위한 것입니다. 자세히보기

서비스 기획

맥비 설문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K-서비스 기획자 어떤 업무를 하고 있나

노노니 2025. 10. 2. 04:52

서비스 기획자 맥비는 '2025년인 지금.. 기획자는 어떤 업무를 하고 있나요?' 라는 주제로 설문을 하였고 결과를 배포했습니다.
총 221명이 응답한 설문의 결과를 분석하여 K-서비스 기획자는 어떤 업무를 하고 있으며 실리콘 밸리로 대표되는 Product Manager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설문결과

1. 서비스 기획자가 공통적으로 하는 업무

(대부분의 응답에서 수행됨)

  • 문제 정의 및 요구사항 분석
    • 서비스/플랫폼의 문제 발굴과 정의
    • 요구사항 정의 및 정리
  • 서비스 정책 관련 활동
    • 서비스 정책 수립
    • 정책 문서/정책서 작성
  • 기획 문서 작성
    • 제안서, 기획서, 보고서 등 문서화
  • 화면 설계
    • 이용자 화면 설계 (User Flow, Wireframe)
    • 관리자(운영자) 화면 설계
  • 품질 검증
    •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 테스트 진행 (QA 참여)
  • 조율 및 커뮤니케이션
    • 대내(내부 부서) 이슈 조율
    • 대외(고객사, 외주사) 이슈 대응
  • 프로젝트 관리 연계
    • 일정 관리, 업무 진행 관리
    • 분석(고객, MAU, 유입률, 이동경로 등 지표 기반)

서비스 기획자는 “문제 정의 → 정책/요구사항 정리 → 화면 설계 → 문서 작성 → QA 및 조율 → 일정 관리”까지 서비스 전 과정의 중심 역할을 수행합니다.

 

2. 서비스 기획자가 반드시 하지 않는 업무

(대부분 다른 직무 담당)

  • UI/UX 디자인의 비주얼 작업
    • 비주얼 디자인, 그래픽 산출물 제작은 디자이너 담당
    • 설문에도 “UI/UX는 디자이너, 어드민은 PO” 라는 응답 있음
  • 개발 업무
    • 코드 작성, 시스템 구현은 개발자 담당
  • 운영성 단순 업무
    • 고객 CS, 마케팅 실행, 콘텐츠 운영 등은 별도의 운영/마케팅팀 역할
  • 외주/대행 영역
    • 광고 집행, 세일즈, 법률 검토, 세무 회계 등 전문 외주 영역은 담당하지 않음

서비스 기획자는 실행자(디자이너, 개발자, 마케터)가 아니라, 서비스 방향과 실행 체계를 설계하고 조율하는 “허브 역할에 집중합니다.

 

3. 정리

  • 하는 일: 문제 정의, 정책·요구사항 정리, 화면 설계, 문서화, 테스트, 부서 간/대외 조율, 일정 관리, 지표 분석
  • 하지 않는 일: 시각 디자인, 개발, 운영성 단순 업무, 외주 전문 업무

 

 

K-서비스 기획자 vs. Product Manager

서비스 기획자(한국형 역할)를 실리콘밸리 Product Manager(PM), UX Designer의 업무 범위와 대응시켜, “어떤 업무가 겹치고, 어떤 업무는 다르며, 어느 정도 비율로 일치하는가”를 정량적으로 보았습니다.

1. 한국 서비스 기획자의 주요 업무 (앞선 설문 기반)

  • 문제 발굴 및 정의
  • 요구사항 정의/분석
  • 서비스 정책 수립 및 문서화
  • 화면 설계(이용자/관리자)
  •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및 QA 참여
  • 부서/외주 간 조율
  • 일정/프로젝트 관리
  • 지표 분석(고객, MAU, 유입률 등)

 

2. 실리콘밸리 PM(Product Manager) 주요 역할

  • 시장/사용자 문제 정의 (✔ 한국 기획자와 동일)
  • 제품 비전 및 로드맵 수립 (한국 기획자 일부만 수행)
  • 우선순위 및 의사결정 (✔ 일부 한국 기획자의 역할, 하지만 경영층/PO와 분리되는 경우 많음)
  • 팀 간 커뮤니케이션 & Alignment (✔ 동일)
  • 데이터 기반 제품 성과 분석 (✔ 동일)
  • ❌ 직접 화면 설계/정책서 작성은 잘 하지 않음 (이건 한국형 기획자의 특징)

 

3. 실리콘밸리 UX Designer 주요 역할

  • 사용자 조사 & 리서치 (한국 기획자는 데이터분석 중심, 리서치 기능은 제한적)
  • 정보구조(IA) 설계 (✔ 일부 한국 기획자 수행)
  •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입 설계 (✔ 한국 기획자 업무와 강하게 겹침)
  • UI/비주얼 디자인, 스타일가이드 (❌ 한국 기획자 업무 아님, 디자이너 담당)
  •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 (✔ 한국 기획자도 QA/테스트 관점에서 일부 참여)

 

4. 대응 매핑 (일치/차이 분석)

업무 항목 한국 서비스 기획자 실리콘밸리 PM UX Designer

구분 서비스 기획자 프로덕트 매니저 UX 디자이너
문제 발굴·정의 △ (리서치)
요구사항 정의/분석 ✔ (상위 개념) △ (IA 관여)
서비스 정책·정책서 작성 ✔ (강조) △ (비전·원칙 수준)
화면 설계 (유저/관리자) ✔ (핵심) ✔ (핵심)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QA △ (사용성테스트)
부서 간/외주 조율
일정 관리·프로젝트 진행
데이터 분석 (MAU, 경로, 지표) △ (리서치 데이터)

 

5. 일치 비율 (정량 추정)

  • 한국 기획자 ↔ 실리콘밸리 PM
    • 8개 주요 업무 중 5개 직접 일치(≈ 60%),
    • 나머지 3개(정책서 문서화, 화면 설계, QA)는 한국 기획자 고유 업무.
  • 한국 기획자 ↔ UX Designer
    • 8개 주요 업무 중 3개 직접 일치(≈ 35~40%),
    • 특히 “화면 설계, 일부 사용자 테스트, IA 설계”에서 강하게 겹침.
    • 하지만 비주얼 디자인·UI는 한국 기획자는 하지 않음.

 

6. 결론

  • 한국 서비스 기획자는 실리콘밸리 PM 60% + UX Designer 40% 정도를 섞은 하이브리드 역할
  • 실리콘밸리에서는 이 두 직군이 나뉘어 있지만, 한국에서는 “기획자”라는 이름 아래 정책/문서/화면/QA까지 모두 커버하는 것이 특징

 

설문 데이터

📌 보편적인 기획자의 업무

(총 221개 응답 기준, 기획자가 가장 높은 빈도로 수행하는 업무)

  1. 요구사항 정의(분석) – 200건 (90.5%)
  2. 이용자 화면설계 – 200건 (90.5%)
  3. 대내 부서간의 의견 및 이슈 조율 – 195건 (88.2%)
  4. 서비스 플로우 설계(Flow Chart) – 194건 (87.8%)
  5. 관리자 화면설계 – 189건 (85.5%)
  6. 테스트 진행 – 185건 (83.7%)
  7. High-Fidelity 와이어프레임 설계 – 181건 (81.9%)
  8. 플랫폼/서비스 문제 발굴과 정의 – 171건 (77.4%)
  9. 서비스 정책서 작성 – 170건 (76.9%)
  10. 일정관리 및 프로젝트 진행 관리 – 167건 (75.6%)

 

📌 보편적 기획자의 3대 핵심 역할

1. 설계 및 구조화 (Designing & Structuring)

  • 복잡한 요구사항과 비즈니스 로직을 개발팀이 이해할 수 있게 구체화
  • 요구사항 정의/분석: 기능 목록화
  • 서비스 플로우 설계(Flow Chart): 사용자 여정/화면 이동 경로 정의
  • 이용자·관리자 화면설계: 실제 사용자 화면 + 백오피스까지 설계

2. 소통 및 조율 (Communication & Alignment)

  • 다양한 이해관계자(개발, 디자인, 마케팅, 경영진 등) 의견을 조율
  • 대내 부서간 의견 및 이슈 조율
  • 테스트 진행(QA)

3. 관리 및 문서화 (Management & Documentation)

  • 제품 전 과정 관리 및 기록
  • 일정·프로젝트 관리
  • High-Fidelity 와이어프레임 설계, 서비스 정책서 작성

➡ 결론: 기획자는 단순 화면 설계자가 아니라, **요구사항 분석(200건), 서비스 구조 설계(194건), 내외부 조율(195건)**을 중심으로 제품 전체 책임을 수행하는 역할.

 

📌 업무 성격별 기획자 특징

1. 인하우스(In-house)

  • 핵심: 요구사항 정의, 문제 발굴, 정책 수립, 플로우 설계, 화면설계, 대내 조율
  • 특징: 자사 서비스 전반을 책임지고 전략적·내부 지향적 업무

2. SI(System Integration)

  • 핵심: 화면설계(사용자/관리자), 문서 작성, 이슈 조율
  • 특징: 외부 클라이언트 요구사항을 구체적 산출물로 전환, 시스템 설계·운영 중심

3. 에이전시(Agency)

  • 핵심: 화면 설계 + 외부 커뮤니케이션, 제안서·보고서 작성
  • 특징: 결과물 산출 및 일정 맞추기에 집중, 외부 클라이언트 커뮤니케이션 비중 큼

4. 복합(인하우스+SI)

  • 핵심: 화면 설계 + 내부/외부 조율
  • 특징: 운영·개발까지 관여, 실무 밀착형 역할

 

📌 회사 규모별 기획자 특징

스타트업 (50명 응답)

  • 요구사항 정의, 서비스 플로우 설계, 대내 조율 비중 가장 높음
  • 전 과정 밀착, 서비스 설계·내부 조율 중심

중소기업 (118명 응답)

  • 요구사항 정의, 화면설계, 대내 조율, 대외 조율 비중 높음
  • 외부 협력/클라이언트 응대도 많이 포함됨

중견기업 (35명 응답)

  • 대내 조율, 일정/프로젝트 관리 비중 높음
  • 내부 조직 간 복잡한 조율과 관리 중심

대기업 (11명 응답)

  • 요구사항 정의, 대내/대외 조율, 일정관리 비중 높음
  • 프로젝트 관리 + 이해관계자 조율에 집중

공통: 요구사항 정의, 화면 설계, 플로우 설계, 대내 조율은 회사 규모에 상관없이 핵심 업무.

 

📌 업종별 기획자 특징

  • 헬스케어: 요구사항 정의, 플로우 설계, 대내 조율, 문제 발굴/정의
  • 커머스: 문제 정의, 화면설계, 대내 조율, 일정관리
  • 에듀테크: 요구사항 정의, 플로우 설계, 대내 조율, 일정관리
  • 핀테크: 문제 발굴·정의, 제안서·기획서 작성, 일정관리
  • 에이전시: 대외 조율, 제안서/기획서/보고서 작성

전체: 요구사항 정의(200), 화면설계(200), 대내 조율(195), 플로우 설계(194), 관리자 화면설계(189)가 공통적으로 가장 높은 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