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으로 세상을 설계합니다. 기술은 사람을 위한 것입니다. 자세히보기

서비스 기획

화면 설계의 미로에서 벗어나는 법, 화면흐름도가 답이다

노노니 2025. 8. 14. 08:26

서비스 기획 과정에서 화면 설계는 끊임없는 선택의 연속입니다. 하나의 요소를 추가하고 삭제하는 과정에서 전체 서비스의 사용 방식이 바뀌고, 이는 다시 새로운 고민을 불러일으킵니다. 이런 반복적인 수정 작업 속에서 방향성을 잃지 않고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화면흐름도입니다.

화면 설계에서 마주하는 딜레마

화면 설계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상황들과 자주 마주하게 됩니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려 추가한 기능이 오히려 복잡성을 증가시키거나, 간소화를 위해 제거한 요소가 핵심 기능의 접근성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하죠.

이런 과정에서 "있던 것을 없애고 없던 것을 만들고, 없어진 것을 다시 살리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반복됩니다. 한 페이지 안에 들어갈 요소들을 두고 오랜 시간 고민하다 보면, 처음부터 다시 생각해야 하는 순간들이 계속해서 찾아옵니다.

무한 반복을 멈춰야 하는 이유

서비스 기획은 궁극적으로 디자인과 개발을 거쳐 실제 프로덕트를 만들어내는 작업입니다. 아무리 완벽한 기획을 원한다 해도, 무한정 고민만 할 수는 없습니다.

"단순하면서 꼭 필요한 요소만 남기자"는 결론에 도달한 후에도 새로운 난관에 부딪히게 됩니다. 전체 작업 중 어느 부분까지 완료되었는지, 변경사항이 발생했을 때 어떤 화면을 얼마나 수정해야 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화면흐름도, 길잃은 순간의 나침반

이런 막막한 순간에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바로 화면흐름도입니다. IA(Information Architecture)라고도 불리는 화면흐름도는 단순히 페이지들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것을 넘어서, 현재 위치와 앞으로의 방향을 명확히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화면흐름도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작업 진행 상황의 명확한 파악: 전체 서비스 구조 안에서 현재 어떤 페이지를 작업하고 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잔여 작업량의 정확한 측정: 앞으로 남은 화면 설계 작업이 얼마나 되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일정 관리와 리소스 배분에 도움이 됩니다.

변경 사항의 영향도 분석: 특정 화면의 변경이 다른 화면들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재작업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팀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 증대: 디자이너와 개발자에게 전체적인 서비스 구조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어, 협업의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체계적인 접근의 시작

화면흐름도는 단순한 도구가 아닌, 서비스 기획 작업의 사고 과정을 체계화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끝없는 수정과 고민의 반복에서 벗어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기획 작업을 위해서는 화면흐름도를 활용한 접근이 필수적입니다.

복잡해 보이는 서비스도 결국 사용자의 여정을 따라 연결된 화면들의 집합입니다. 화면흐름도를 통해 이런 연결 관계를 명확히 정의하고, 각 화면의 역할과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면, 더 이상 길을 잃지 않고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